영업직 비즈니스맨을 위한 모바일 서비스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터치 폰 위젯 서비스를 중심으로-

Mobile service design supporting for Sales Business work

  • 이현진 (홍익대학교 디자인영상학부) ;
  • 박혜연 (홍익대학교 디자인영상학부) ;
  • 장대석 (홍익대학교 디자인영상학부)
  • 발행 : 2009.02.09

초록

모바일 폰은 단순히 전화라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의 역할 뿐 아니라 웹, 멀티미디어, 카메라 등의 정보 가전과 융합하면서 일상생활의 주요 정보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모바일 폰의 위상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와 인터렉션들이 개발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모바일 폰의 발전 방향 아래서 다양한 사용자의 정보 서비스 요구에 따른 맞춤 서비스 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업무상 모바일 사용 비중이 높은 영업직 종사자들을 위한 모바일 업무 지원 서비스를 연구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영업직 및 이와 유사하게 대인 커뮤니케이션 비중이 높은 업무에 종사하는 비즈니스맨을 대상으로 Contextual Inquiry Interview 기법을 활용하여 관찰 및 인터뷰를 실시하고 이 결과를 분석하여 사용자들의 니즈와 현행 모바일 사용상의 문제점들을 도출하고 모바일 사용 효율을 높여줄 수 있는 서비스 컨셉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구현하기 위한 화면 설계와 인터렉션 디자인, GUI 디자인을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영업직 사용자들의 즉흥적 정보 처리 요구와 정보의 연계성을 높여주는 포스트 위젯 서비스와 인맥 관리 및 정보 검색의 유연성을 제공하는 메모리 박스 서비스를 제안하였다. 이들은 최근 주목받고 있는 모바일 플랫폼 모델인 터치폰을 위한 위젯 서비스의 형태로 구현되었다.

This study focused on user centered design methodology on mobile service design, Especially we designed business supporting service for sale persons with heavy mobile uses in their works. We used contextual inquiry interview to understand user's work context and mobile usage. The findings are applied to the service concept, And information architecture, interaction design, GUI design is followed. As a result of design research, Post widget service is designed for instant information organization and functional relationship. And Memory box widget service is designed for business network management and contextual findability. Those services are developed for widget design on touch based phone platform.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