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2009.05a
- /
- Pages.235-238
- /
- 2009
The differences in character design in China, Japan, and Korea : A can study of comic "The Monkey King"
만화<손오공>에 나타난 한·중·일 캐릭터디자인 특징
- Kim, Ka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Oh, Chigyu
- Published : 2009.05.22
Abstract
The character design is part of a culture. That is, it is not just an object but it reflects the cultural tendency and context where it is visualized. It's potential as a cultural medium of communication become pervasive in the field. One of good sources of characters is the classics which represent the nation's culture and history. The topic of this presentation is to show how a character in the Buddhist story, the Monkey King, designed differently in different context. For the purpose, the animation on the Monkey King in China, Japan and Korea are reviewed and analyzed. The result shows that the same animation character has been designed in different way in different context and it reflects the cultural tendency of the country. For example, Koreans tend to emphasize the global feature of the character. In case of Chinese, however, the character designer emphasizes traditional value. Finally, the designer in Japan tries to put their cultural element in detailed part of the character that makes it appeal to the public.
캐릭터는 문화적 콘텐츠이며 이를 시각화하여 자국의 문화를 보여주고 그 문화를 전달하는 매개체적인 잠재력이 점점 커지는 영역이다. 캐릭터들을 살펴보면 고전에 나타난 인물들로 제작된 캐릭터를 많이 찾아 볼 수 있다. 고전은 하나의 국가 혹은 민족의 문화에서 그 원형을 찾아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고전신화소설 [서유기]를 모델로 하여 제작된 만화 한국의 [미스터 손(날아라! 슈퍼보드)], 중국의 [大鬧天宮 제천대성 손오공 (제천대성 손오공)], 일본의 [ぼくの孫悟空(나의 손오공)]에 등장하는 손오공캐릭터를 중심으로 한국 중국 일본 캐릭터디자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한국은 퓨전 적이며 글로벌 적인 경향을 나타내고 있고, 반면 중국은 전통문화에 대한 부각에 치중하고 있으며, 일본은 디테일한 부분에 자신의 전통적인 문화요소를 부여하여 보다 대중적인 수용성을 추구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캐릭터디자인이 각 나라별로 문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