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vision of Drought Area using Continuous Dry-Day and Cluster Analysis in Korea

과우일수와 군집분석을 이용한 우리나라의 가뭄지역 구분

  • 오태석 (서울시립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수자원연구실) ;
  • 문영일 (서울시립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김민석 (서울시립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박명선 (서울시립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Published : 2009.05.21

Abstract

가뭄은 여러 수문학적 재해유발 요인 중에서 극심한 피해를 유발시키는 자연재해 중의 하나이다. 가뭄은 장기간 동안 계속되어 물순환과정에 악영향을 끼치며 이로 인해 물부족을 유발시켜 농업 등의 산업에 재해를 유발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가뭄은 학문적으로 기상학적, 농업적, 수문학적, 사회 경제적 가뭄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학문적으로 분류된 가뭄은 조건에 따라 가뭄현상의 정의가 약간씩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뭄지수 중에서 비교적 산정과정이 간단하고 기상학적인 가뭄과 농업적 가뭄을 고려할 수 있는 가뭄지수인 과우일수를 산정하였다. 분석대상 지역은 우리나라의 기상청에서 관할하며 30년 이상 관측된 자료를 이용하였다. 산정된 과우일수의 군집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가뭄지역 구분을 수행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