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Monthly Trend of Seoul Hourly Rainfall Using BLRPM

BLRPM을 이용한 서울지점 시단위 강우의 월별 경년변화 연구

  • Hwang, Seok-Hwan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 Kim, Joong-Hoon (School of Architecture, Civil & Environmental Eng., Korea University) ;
  • Yoo, Chul-Sang (School of Architecture, Civil & Environmental Eng., Korea University) ;
  • Jung, Sung-Won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 Yoo, Do-Guen (School of Architecture, Civil & Environmental Eng., Korea University)
  • 황석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실) ;
  • 김중훈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사회환경공학부) ;
  • 유철상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사회환경공학부) ;
  • 정성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실) ;
  • 유도근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사회환경공학부)
  • Published : 2009.05.21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공간상의 한 점에 대한 연속시간 강우모델로 시간단위의 통계특성을 재현하는데 유용하다고 알려진 BLRPM(Bartlett-Lewis Rectangular Pulse Model)을 이용하여, 측우기 자료를 포함하는 서울지점의 일강우 자료를 분해하고 지속시간별로 집성하여 모의된 시단위 단기 강우의 정량적 장기변화 특성을 분석해 보았다. 모의자료의 전이확률과 발생빈도 분석결과, 측우기 관측계열(CWK)에 비해 근대 우량계 관측계열(MRG)의 무강우 지속기간은 길어지고 강우지속기간은 짧아졌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과거에 비해 근래의 강우지속기간이 짧아졌음을 의미하고, 근래 강우량의 양적증가와 같이 고려해 보면 근래의 강우강도가 과거보다 매우 높아졌음을 증명해 준다. 1960년대 전후로 구분한 자료계열(BCC와 ACC)에 대하여 지속시간별 모의 강우량의 평균과 분산의 비(증감률)를 월별로 비교한 결과, 전반적으로 9월이 증가의 정도가 가장 컸고 8월도 비교적 큰 증가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6월은 오히려 약간 감소한 경향을 나타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