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sessment of Climate Change Impact on Flow Regime and Aquatic Ecosystems Using the Indicators of Hydrologic Alteration(IHA) in the Han River basin, Korea

IHA를 이용한 기후변화가 유역의 유황과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평가

  • 김병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본부 수자원연구실) ;
  • 김보경 (노아솔루션(주) 기술연구소) ;
  • 권현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본부 수자원연구실) ;
  • 서병하 (인하대학교.사회시스템공학부)
  • Published : 2009.05.21

Abstract

물 순환과정의 핵심요소로 설명되는 유출량은 용수 공급과 가뭄재해에 대한 이수, 홍수 대비 및 관리는 물론, 하천생태계 유지를 위한 환경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유출량의 규모(quantity)와 시간(timing)은 용수공급, 수질과 하천 시스템의 생태학적 교류에 중요한 요소로(Poff 등, 1997) 하천 유황의 5가지 요소(규모, 빈도, 지속시간, 시간과 변화율)는 수중 생태계에 직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Karr, 1991; Poff 등, 1997). 최근 기후변화 현실화로 강우 발생 시기와 패턴이 변화하면서 유역에 따라 유황이 변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기후변화가 향후 하천 유황과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한강 유역을 대상유역으로 선정하고 기상청(Korea Meterological Administration, KMA)에서 제공하는 A2 기반의 고해상도 RCM 모형($27km{\times}27km$)으로부터 일(daily)단위의 기후변화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준분포형 모형인 SLURP 모형으로부터 유출 변화를 모의한 후 수문변화지표(indicator of Hydrologic Alteration, IHA)를 이용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하천 유황과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