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tandard Preparation for Cab Design of EMU with the 180km/h of Maximum Speed

180km/h급 간선형 전기동차 운전실 설계기준 마련 연구

  • 임재은 (코레일 철도연구원 기술연구팀) ;
  • 정도원 (코레일 철도연구원 기술연구팀) ;
  • 김치태 (코레일 철도연구원 기술연구팀)
  • Published : 2009.05.21

Abstract

The rolling stocks of KORAIL are KTX, Saemaulho Multiple Unit(PP), New Electrical Locomotive(DL), Electrical Locomotive(EL), Diesel Locomotive, Metropolitan Commuter Train(CDC), VVVF and Resistance Controlled Multiple Unit, etc. EMU with the maximum speed of 150km/h is under the test run at the moment. Electrical Multiple Units for mainlines with 180km/h speed are supposed to be introduced as a substitute for Saemaulho Multiple Unit which is scheduled to be out of service. But the specification standard for the control board design of train driver's cab does not exist and there is no a study for layout and type of controlling device with driver's ergonomical approach. That's why the types of controller and operating are different from rolling stocks, which has high possibility of driver's human error and needs education whenever a new car comes in. Based on the opinion poll of drivers, design specification of safety engineering and ergonomics for controlling devices and safety facilities can improve exact control for devices and deal quickly with an emergency so as to improve rolling stock safety and operational efficiency.

현재 한국철도공사에서 운행하는 철도차량은 KTX, 새마을호동차(PP), 선행전기기관차 (NEL), 전기기관차 (EL), 디첼기관차, 도시통근형동차(CDC), VVVF, 저항제어차 등 8 여종에 이르고, 현재는 150km/h 급 간선행전기동차 (Electric Multiple Unit)는 시험운행중이다. 또한 조만간 폐차되는 새마을호동차의 대체차량으로 180km/h 급 간선형전기동차의 도입이 예정되어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철도차량의 운전실제어대 설계기준이 없고, 제어기기의 배치 및 형식 등에 대해 운전자의 입장에서 인체공학적 접근을 시도한 연구도 전무한 실정이어서 개발되는 차량마다 제어기의 형식 및 조작방식이 상이하다. 이는 운전자의 기기 취급 오류률 유발할 가능성이 매우 크며, 신규차량 도입시 별도의 운전자 교육을 시행해야하는 동 운영 상의 효율성이 매우 떨어진다. 따라서 운전자의 의견수렴을 바탕으로 운전 중 상시 취급하는 제어기기 및 안전설비에 대하여 안전공학 및 인체공학적 설계기준을 마련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기기취급에 정확성을 높이고, 이례적인 상황에서 보다 더 신속한 대처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철도차량 안전성과 운영상의 효율성을 증진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