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br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Electrochromic TNT Thin Films

전기변색 TNT 박막의 절조 및 특성 평가

  • Oh, Hyo-Jin (Dept. of Nano Science & Technology, Sejong University) ;
  • Lee, Nam-Hee (Dept. of Nano Science & Technology, Sejong University) ;
  • Yon, Yeong-Ung (Dept. of Nano Science & Technology, Sejong University) ;
  • Lee, Dae-Girl (Dept. of Nano Science & Technology, Sejong University) ;
  • Hwang, Jong-Sun (Dept. of Electricity Applied Computer, Jeonnam Provincial College) ;
  • Kim, Sun-Jae (Dept. of Nano Science & Technology, Sejong University)
  • 오효진 (세종대학교 나노신소재공학과) ;
  • 이남희 (세종대학교 나노신소재공학과) ;
  • 윤영웅 (세종대학교 나노신소재공학과) ;
  • 이대걸 (세종대학교 나노신소재공학과) ;
  • 황종선 (전남도립대학 컴퓨터응용전기과) ;
  • 김선재 (세종대학교 나노신소재공학과)
  • Published : 2009.04.17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Titanate Nanotube (TNT)를 LBL-SA (layer-by-layer self-assembling) method을 이용하여 전기변색 (electrochromism device, ECD) 소자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TNT 분말은 10M NaOH와 $TiO_2$를 혼합한 후 autoclave에서 130$^{\circ}C$, 48시간 동안 수열합성하여 제조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 (SEM)으로 TNT 분말의 형상을 관찰한 결과, 직경 20$\sim$30nm, 길이 500$\sim$600nm의 튜브 형상을 나타내었으며, X-선 회절시험 (XRD) 결과 층상구조로 확인되었다. 코팅 물질의 표면 전하를 이용한 LBL-SA method에 적용시키기 위해 수용액 중에서 TNT 입자 표면 전하를 TBAOH (tetrabutylammonium hydroxide)를 적정하여 제타 전위 값이 -40mV로 최대가 되도록 하였으며, 이때 pH 값은 9로 나타났다. 2전극 시스템을 이용하여 cycle voltammetry를 측정한 결과, -0.5$\sim$-1.5V 영역에서 산화환원전위 피크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짙은 갈색으로 변색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서 TNT 박막은 전기를 인가하였을 때 n-type 반도체 성질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앞으로 display 연구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주목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