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the consumer behavior pattern in digital environment

디지털 환경에서의 소비자 유형 구분과 그 특성에 대한 탐색 -디지털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코드의 발견-

  • Published : 2008.02.13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ap of mind" or subjectivity regarding consumption behaviors of consumers in the digital environmen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alues and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that motivate consumption for each types of consumers in digital environment. 76 Statements were selected from literature review and popular press articles that introduced consumption related phenomena. A total of 33 participants included experts on digital consumption and lay pers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are 6 groups representing Korean consumption patterns in digital environment: Digital Modernist, Digital Boomer, Digital Chic, Digital Ludens, Digital Conservative, and Digital Renaissance.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a framework to view the diverse consumption behaviors in a more holistic rather than independent perspective, considering psychological aspects such as personal values and lifestyles.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환경 하에서의 소비 행동에 대해 소비자들이 가지고 있는 마음의 패턴 혹은 주관적 코드, 즉 주관성(subjectivity)을 발견하는 것이다. 정보통신 분야를 포함한 디지털 제품과 서비스의 사용은 기술의 수용을 넘어, 소비자들의 일상적인 삶을 구성하는 주요 활동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에 대한 논의는 일반적으로 이들의 특징적인 활용이나 소비매체를 활용하는 개별적인 현상이나 사례로만 이야기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환경에서의 소비 형태의 유형과 각 유형에서 작용하는 중요한 가치들과 심리적, 행동적 특성들에 대해 탐색해보았다. 연구대상은 실제 언론과 여러 문헌들에서 주요 디지털 소비 활동으로 언급하고 있는 특성들과 함께 소위 디지털 신인류들이 디지털 제품과 서비스 영역과 사이버 공간에서 보이는 다양한 활동과 현상을, 그리고 그들의 다양한 사회적 관계와 일과 놀이, 일반적인 소비 특성들을 근거로 한 디지털 소비 행동 문항이었으며, 연구참여자는 정보통신 분야의 디지털 전문가들과 일반소비자들, 총 33명이었다. 총 76개의 디지털 소비 행동 문항을 대상으로 디지털 소비자 유형을 구분해본 결과, 총 6개의 디지털 소비자 유형이 추출되었다. 각 집단은 'Digital Modernist', 'Digital Boomer', 'Digital Chic', 'Digital Ludens', Digital Conservative', 'Digital Renaissance'로 명명되었다. 각 유형은 디지털 소비 행동과 연계되어, 디지털 제품과 서비스에 부여하는 가치와 라이프스타일로 구체화되었다.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의 소비 행동의 유행과 그 속에 내포된 가치와 니즈를 전체적으로 조망해볼 수 있는 틀을 제공했다는데 의미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