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User Needs Cognition on Functions of Mobile Phone - Focused on Use Frequency and Necessity on Functions of Age Group

휴대폰의 기능에 대한 사용자 요구 인식에 관한 연구 - 20대, 30대, 50대 사용자의 휴대폰 기능별 사용 빈도와 필요성 인식을 중심으로

  • 박민희 (경성대학교 디지털디자인전문대학원) ;
  • 이성태 (진주국제대학교 인테리어산업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8.02.13

Abstract

Mobile phone becomes composite product which the high technological multimedia functions of a Digital camera, MP3, MP4, Blue-tooth, DMB over basic functions of a calling and 3M3. By the view of user, many functions give a heavy burden rather than supporting convenient function itself because it is complex for user to use it. We want to evaluate how users feel using mobile phone according to age, comparing use frequency and necessity. So survey is tried to figure out the difference between use frequency and necessity by dividing three groups into 20s and 30s and 50s. As a result, difference of use frequency and necessity for functions of mobile phone between 20s and 30s and 50s. And the other users have the difference. Consequently, mobile phone development according to age is necessary to satisfy user's desire, evaluating elements research of user preference. We hope this paper can contribute to mobile phone development as a basic guidance.

휴대폰은 통화, 문자메시지의 기본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1000만화소 디지털카메라, MP3, MP4, Blue-tooth, 지상위성DMB 화상통화 등의 최첨단 멀티미디어 기능들이 추가된 컨버전스 제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많은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휴대폰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복합적인 기능들의 제공으로 인한 경제적인 부담감을 가중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점을 인지하여, 본 연구에서는 연령대별로 20대, 30대, 50대, 세 그룹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사용자 입장에서의 휴대폰의 기능별 사용빈도와 필요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휴대폰의 기능별 시용 빈도와 필요성 인식은 세 그룹이 뚜렷하게 그 차이를 보였고, 20대와 30대, 50대뿐만 아니라 다른 연령대별 사용자도 그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날 것이라 예측된다. 모든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켜 주는 휴대폰을 개발하는 데는 어려움이 다를 것이다. 하지만 연령별, 성별, 세대별, 지역별 다른 감성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 등 여러 측면으로 사용자층을 분류하여 각 분류에 맞는 요소별로 연구가 진행된다면 모든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휴대폰을 개발하는데 어려움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