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철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인터렉티브 아트의 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the analysis of Interactive art in the Oriental philosophy

  • 김재영 (숭실대학교 미디어학과 대학원) ;
  • 유희범 (숭실대학교 미디어학과 대학원) ;
  • 김선주 (숭실대학교 미디어학과 대학원) ;
  • 김유석 (숭실대학교 미디어학과 대학원) ;
  • 성정환 (숭실대학교 미디어학과)
  • 발행 : 2008.02.13

초록

현재의 미디어 아트는 관객과의 소통에 의해 생명력을 획득하는 "관계"의 아트로 발전함에 따라 인터렉티브 아트로 자리매김하였다. 그러나 빠른 진화의 과정에 놓여있는 까닭에 인터렉티브 아트에 대한 개념은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렉티브 아트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의 단계별 분류를 통해 소극적, 적극적 인터렉티브 아트로 재분류하였다. 소극적 인터렉티브 아트는 '소통의 참여화'로 규정한 상호작용성을 가지고 있으며 평면적이며 유한한 특성을 지닌다. 그에 반해 적극적 인터렉티브 아트는 '관계의 의미화' 를 통해 실시간적이며 끊임없이 계속되는 소통의 시스템이다. 작품 분석을 통해 단계별 인터렉티브 아트 구분의 타당성을 진단해 보고, 특히 적극적 상호작용에서의 관계성에 주목한다. 작품과 관객의 관계성에 의해서 의미가 생성되는 적극적 인터렉티브 아트는 존재론에 근거한 서양의 전통적인 이분법적 형이상학에 의한 해석만으로는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를 낳을 수 있다. 인터렉티브 아트를 철학적 담론으로 형성할 경우, 그것을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은 동양적 철학, 즉 관계론에 의해서 보다 자연(自然)스럽게 해석됨을 짐작 할 수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인터렉티브 아트의 상호작용성이 형성하는 관계에 의한 예술 담론을 인터렉티브 아트에 대한 해석 확장의 시도로서 동양철학의 일원론적 세계관을 통해 풀어보고자 한 것이다.

Media art is developing the art of 'interaction' that get meaning through communicating an audience. Now, media art got the title named interactive media art, but its concept is not clear In this study we divided into two classes - passive and active interactive art. Passive interactive art had the interaction 'participation of communication' and had flat and limited features. Active interactive art meant that an audience played with works actively and found significances between artworks and themselves. Through analysis of case study, we verified a propriety about own interactive art's division. Especially, the active interactive art was very important. The western classical metaphysics seemed to be not perfect in analysis of active interactive art. We tried to analyze active interactive art more perfectly by using the oriental philosoph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