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of Testing Method for Quality Control of Chloride Diffusivity in Concrete under chloride attack environment

콘크리트 구조물의 염해 내구성능 검토를 위한 현장 품질관리 시험법 검토

  • 김홍삼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기술원) ;
  • 정해문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기술원) ;
  • 안태송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기술원) ;
  • 김철호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기술원) ;
  • 전병섭 (한국도로공사 인천대교건설사업단 품질환경팀)
  • Published : 2008.04.24

Abstract

Recently, it is increasingly reported that the deterioration of concrete structure under marine environments is due to diffusion and penetration of chloride ions. It is very important to estimate the diffusion coefficient of chloride ion in concrete. Estimation methods of chloride diffusivity by concentration difference is time-consuming. Therefore, chloride diffusivity of concrete is mainly conducted by electrically accelerated method, which is accelerating the movement of chloride ion by potential difference. However, there has not been any proper method for field quality control to closely determine the diffusion coefficient of chloride ion through accelerated tests using potential difference. In this paper, the various test methods for determination of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 in concrete were investigated through comparison accelerated tests. From the results of estimated diffusion coefficient of chloride ion, relationship between the ponding test and acceleration test was examined.

염해환경에 건설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은 염소이온과 같은 유해이온이 외부로부터 콘크리트 중으로 침투, 확산하여 철근을 부식시킴으로써 구조물의 내구성을 크게 저하시키기 때문에 구조물의 내구성 평가 또는 설계시 중요한 고려사항이 된다. 현재 설계에서 사용되는 확산계수는 각 나라마다 제시된 근거가 다르므로, 직접 비교 검토하는 것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동일 환경조건에서 동일 배합의 콘크리트에 대한 수명예측 결과가 크게 상이한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본 연구는 염해환경하 콘크리트의 염해 내구성능 품질관리를 적용하기 위해서 현장에서 적용할 수 외국에서 규격화된 시험방법들을 비교 검토하고 이들 시험 방법 가운데 품질관리에 적합한 시험방법을 선정하여 재령별 확산 특성과 침지 시험 결과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슬래그 미분말을 혼입한 콘크리트의 경우 침지시험(NT Build 443)과 촉진시험(NT Build 492)의 상관성을 분석한다면, 이들 토대로 콘크리트 배합의 품질관리 기준 확산계수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