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fundametal properties of thermoelectric power plant pond-ash in Korea

국내 화력발전소 매립회의 기초물성에 관한 연구

  • 이봉춘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건설기반기술센터) ;
  • 정상화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건설기반기술센터) ;
  • 김진성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건설기반기술센터) ;
  • 김주형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건설기반기술센터) ;
  • 문재흠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건설기반기술센터) ;
  • 김태상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건설기반기술센터)
  • Published : 2008.04.24

Abstract

Non-refining fly ash and bottom ash, the byproducts generated from the coal-fired power stations, have usually been disposed of in onshore ash disposal sites. With an increase of power consumption due to industrial development, the generation of coal ash has been growing tremendously. Current insufficiency of disposal sites and environmental concerns over newly-built disposal sites have also led a growing need to utilize the coal ash. Accordingly,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he fundamental properties of the coal ash collected from each disposal sites in order to increase the usability of the coal ash generated from coal-fired power sta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coal ash shall be separately applied by the properties for each intended use as the ash greatly differs in its properties depending on the site of disposal. In particular, it is shown that the overall evaluation on the ash shall be necessary as the quality might be varied by the change of absorptance when applied as an aggregate for concrete. From the examination on the salt content, it has been observed that the ash can be applied as an aggregate for concrete only after more than 3 times of washing process.

석탄화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인 석탄회중 비정제 플라이애시 및 바텀애시는 해안에 건설된 회처리장에 매립처분되고 있는 실정이다. 산업의 발전과 함께 전력소비량의 증대로 석탄회의 발생량은 점차 증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매립지의 부족과 신규건설에 따른 환경문제의 대두로 매립회의 활용필요성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발전소 매립지 매립회의 활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매립지 별 매립회의 기초물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매립지 별로 매립회의 특성이 다르므로 용도별 특성을 구별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콘크리트용 골재로서 적용할 경우 흡수율의 변동에 따른 품질의 특성이 매우 다르기 때문에 매립회에 대한 전체적인 비교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염분함유량을 검토한 결과 2회이상의 세척과정을 통하면, 콘크리트용 골재로서의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