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cal Bond Stress-Slip Model of GFRP Rebars

GFRP 보강근의 부착응력-미끄럼 모델

  • 정연걸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
  • 이종구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과) ;
  • 이정윤 (성균관대학교 건축공학과)
  • Published : 2008.11.07

Abstract

The cost of repairing the deterioration of concrete structures due to corrosion of the reinforcement steel has been the prominent figure in the maintenacne of the reinforced-concrete infrastructures. As an alternative material to steel reinforcement, the use of Glass Fiber Reinforced Polymer (GFRP) bar in concrete is being actively studied for the high resistance of chemical environment and high strength to weight ratio properties of GFRP. However, there remain various aspects of GFRP properties that still need to be studied before the standard design criteria can be established. One of the imminent issues is the bond between GFRP and concrete. In this study, the bond-behavior of GFRP bars in concrete is investigated via the pullout test with varying parameters: surface condition of GFRP bars and concrete compression strength. And the local bond-stress model of GFRP rabars with applying monotonc load was also derived from the present test.

염해에 노출이 심한 구조물이나 교량의 상판의 보강철근 부식으로 인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조성능 및 내구성능의 저하가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최근 활발히 연구가 진행 중인 유리섬유 보강근(Glass Fiber Reinforced Polymer Bar, 이하 GFRP 보강근)은 높은 화학적 내구성, 고강도, 경량성 등에 의하여 철근을 대체할 콘크리트 보강재로 그 가치를 인정받아 미국, 유럽, 캐나다 등에서는 이미 GFRP 보강근의 설계지침서가 발표되었다. 하지만 아직 GFRP 보강근을 이형철근과 같이 높은 신뢰성을 가지는 보강재로 사용하기에는 파악해야할 구조적 문제가 많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콘크리트와의 부착성능이다. GFRP 보강근의 부착성능은 콘크리트 압축강도에 크게 영향을 받는 이형철근과 달리 섬유종류, 외피 표면 상태 등 여러 가지 요소에 의한 복합적 영향을 받는 부착특성을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외피 표면 상태, 콘크리트 압축강도 등을 변수로 하는 GFRP 보강근으로 보강된 일 방향 인장-인발 시편의 부착실험을 통하여 GFRP 보강근의 부착특성을 관찰하였다. 또한 이를 통하여 단조하중을 받는 GFRP 보강근의 부착응력-미끄럼 관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