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the traditional graphic patterns between Chinese and korea - Based on the periods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and the Ming Dynasty -

한국과 중국 전통 문양 비교 연구 - 조선시대와 명나라 시대 가구를 중심으로 -

  • 이설정 (동서대학교, 디자인&IT전문대학원) ;
  • 송만용 (동서대학교, 디자인&IT전문대학원) ;
  • 이창근 (동서대학교, 디자인&IT전문대학원)
  • Published : 2008.05.01

Abstract

Through the analysis and the caomparation of the furture patterns between the China Ming dynasty and the Korea joseon dynasty, we try to searches for the culturl value of the appreciation possibility to the concept design by the aesthetic and objective tools in this paper. For making cultural and economic mind. cultural product as well-mated as 21st century is how traditional pattern might design, but how fassionable design in modern is attracted. As making and providing those mind, it is observed what the strategy of program activation could be. it is to be desired that is provided the use of product as traditional pattern of today on the traditional pattern of today based on the mentioned above. Hence, it is looked to activation in the modern pattern for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

한국 조선시대와 중국 명나라 가구들에 표출된 문양들을 문헌자료와 비교분석을 통해 심미적이며 객관적 조형 분석 툴을 이용하여 한국과 중국 양국 간의 현대적 콘텐츠 디자인에 응용 가능한 학문적 가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21세기 무한 경쟁 시대에 걸맞게 문화와 경제적 마인드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전통 문양을 어떻게 디자인 요소로 이끌어나느냐 하는 여건 마련이 선행된 연후에야 가능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프로그램의 활성화의 전략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