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application airport security equipment·facility for terror prevention

테러방지를 위한 콘텐츠 응용 공항보안 장비·시설

  • Published : 2008.05.01

Abstract

Terror for airplane, airport and passengers of the problems is being threat over the world. and since 9.11 terror of 2001 year, many countries have endeavored to prevent terror and have manipulate airport security part as important field. Especially, The U.S.A made Transportation security Administration in Homeland security adminstration and strongly execute for policies related anti-terror. many countries over the world enforce airport and airplane security facilities with science-technology contents. and with security exploitation for the passengers and freight security inspection level enforcement, many countries also make effort to interupt aviation terror threat. In this process, in the center of developed countries that need science-technology contents adaption, much budget and personals are invested and exploited a security inspection instrument and complimented of many facilities As a result,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technology, prevention of Terror have much developed. The contents using intelligence-communication technology inevitably needed on the goal of terror prevention and safty. From simple monitoring for the people who come in and out airport to boarding process and inspection for the freight, security inspection process for the passengers, bio information input, confirmation, of the level that there is no cases of adaption of contents, The reality have generalized of using contents. The study is going to research contents application situation.

세계 여러 나라는 2001년 9. 11테러 이후 공항과 항공기에 대한 보안시설을 강화하고 탑승객과 적재 화물에 대한 검색 수준을 높이는 등 항공테러를 방지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미국은 9.11테러의 피해 당사국으로 2001년 이후 관련 법제를 강화하고 조직을 개편함은 물론, 보다 많은 예산을 확보하여 보안장비를 개발하고 있다. 가까운 일본의 경우에도 2007년 11월 20일부터 자국에 입국할 때 지문과 화상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면 입국이 거부되는데 일본 법무성은 개정된 '입국관리 및 난민인정법'에 따라 16세 이상 모든 외국인을 대상으로 이 제도를 실시하며 지문정보는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일본 당국에 보관되며 체류 관리와 범죄수사에 이용된다면서 이번 조치는 테러를 방지하기 위한 절차라고 밝혔다. 그런데 보안장비와 시설의 개발이나 검색, 지문과 화상 등 관련 정보의 데이터베이스화를 비롯한 대부분의 분야는 과학기술의 요구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과학기술 콘텐츠의 적용 필요성을 절감한 선진국을 중심으로 이미 오래 전부터 많은 예산과 인력이 투입되어 장비개발과 시설보완에 진력하였다. 그 결과 과학기술의 발전과 콘텐츠 응용 정도에 따라 테러예방 분야도 눈부신 발전을 해 온 것이 사실이다. 특히 컴퓨터와 정보통신 기술을 응용한 콘텐츠는 테러예방은 물론이고 안전을 목적으로 한 여러 분야에서 필연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공항 출입자에 대한 단순한 모니터링으로부터 탑승수속과 화물에 대한 검사, 탑승객에 대한 보안검색과정은 물론이고 근래에는 전자여권의 제작과 판독, 생체정보의 입력과 확인에 이르기까지 넓게 생각하면 콘텐츠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가 없을 정도로 보편화 되어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테러 예방을 위한 콘텐츠 적용 사례 가운데 현재 사용 중인 콘텐츠 응용 장비와 시설, 그리고 콘텐츠를 이용한 일부 보안시스템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