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Study of GIS-based High-Resolution Coastal Mapping & Analysis at the Manlipo Beach

GIS를 통한 만리포 해변의 정밀 육도-해도 접합 및 분석

  • 김진아 (한국해양연구원 연안개발연구본부) ;
  • 심재설 (한국해양연구원 연안개발연구본부) ;
  • 임학수 (한국해양연구원 연안개발연구본부) ;
  • 민인기 (한국해양연구원 연안개발연구본부)
  • Published : 2008.06.13

Abstract

연안에서의 태풍 해일에 의한 침수범람 지역 예측을 위하여 GIS를 통한 정밀 육도-해도 접합 및 분석을 만리포 해변을 대상으로 시범 수행하였다. 만리포 해변의 정밀 육도-해도 접합을 위하여 고해상도 지상 LIDAR 시스템의 시범 측량 자료와 국토지리정보원의 수치지형도, 국립해양조사원의 수치해도 수심자료 및 한국 주변해역의 30초격자 수심자료를 사용하였다. 또한 평균해수면 산정을 위하여 만리포에 설치된 수압식파고계 조위자료와 해변의 표척을 통한 목측 관측을 통한 조위자료를 활용하였다. 다양한 자료의 GIS 기반 육도-해도 접합 및 분석을 통한 정밀 지형도 구축 기술은 태풍 해일에 의한 침수범람 예측을 위한 정밀 격자 수치모델의 입력 자료로 활용되어 침수 범람 예측 결과의 재해도(Hazard Map) 작성이 가능하고, 나아가 침식 퇴적 등의 지속적인 해안선 변화 모니터링에 활용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