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ech Transition Detection and approximate-synthesis Method for Speech Signal Compression and Recovery

음성신호 압축 및 복원을 위한 음성 천이구간 검출과 근사합성 방식

  • Published : 2008.05.30

Abstract

In a speech coding system using excitation source of voiced and unvoiced, it would be involved a distortion of speech qualify in case coexist with a voiced and an unvoiced consonants in a frame. So, We proposed TS(Transition Segment) including unvoiced consonant searching and extraction method in order to uncoexistent with a voiced and unvoiced consonants in a frame. This research present a new method of TS approximate-synthesis by using Least Mean Square and frequency band division. As a result, this method obtain a high quality approximation-synthesis waveforms within TS by using frequency information of 0.547kHz below and 2.813kHz above. The important thing is that the maximum error signal can be made with low distortion approximation-synthesis waveform within TS. This method has the capability of being applied to a new speech coding of Voiced/Silence/TS, speech analysis and speech synthesis.

유 무성음의 음원을 이용한 음성부호화 시스템에서는 프레임 내에 유성자음과 무성자음이 공존하는 경우 음질의 왜곡을 수반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 내에 유성자음과 무성자음이 공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무성자음을 탐색 및 검출을 포함하는 천이구간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최소 자승법과 주파수 대역 분할법을 사용함으로써 TS 근사합성의 새로운 방식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이 방식은 0.547kHz이하와 2.813kHz 이상에서의 주파수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TS내에서 고품질의 근사합성 파형을 얻을 수 있었다. 중요한 것은 최대 오류신호는 TS내에 저 왜곡 근사 합성파형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방식은 유성음/묵음/TS의 새로운 음성부호화, 음성해석 및 음성합성에 적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