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굴 매력의 교차문화권적 특징

Cross cultural characteristics of facial attractiveness

  • 발행 : 2007.11.16

초록

한 시대나 사회의 얼굴매력에 대한 관점을 영화배우 등 인기연예인의 얼굴분석을 통해 알 수 있다는 가정 하에 물리적 특징에 기반 한 한국 및 외국 연예인 얼굴의 교차 문화적 특징 및 추세를 알아보았다. 얼굴인상감성모형을 이용하여 각 연예인얼굴의 물리적 특징을 측정하고 얼굴유형을 분류하였다. 분석대상은 한국의 여자연예인 152명, 남자연예인 106명, 외국 여자연예인 115명과 남자연예인 85명으로 총 629명이었다. 교차문화적인 분석에서 동서양의 여자 연예인 얼굴에서 나타난 공통적인 특징은 앳된 인상이었다. 앳된 얼굴은 서양 남자연예인에게서도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으나 동양의 남자연예인에게서는 그러한 특징이 나타나지 않았다.

With an assumption that the view point of a given society and time on facial attractiveness can be inferred by analyzing popular stars' faces, the cross-cultural differences in the physical measures of Korean and foreign stars were investigated. A classification model of affective facial impressions was used to obtain the physical measures of the faces and classifying them into a face-type category. The number of face images analyzed in the study were 629 in total: 258 Korean stars, and 200 foreign stars. The results show that the common characteristics found in the cross-cultural analyses of Western and Eastern stars was a babyish impression. Babyish feature was found distinctive also in western male stars, while such trend was not found in Asian male star.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