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전지구관측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조사연구

A Survey Study for Establishment of National Global Earth Observation System of Systems

  • Ahn, bu-young (Korea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
  • Joh, min-su (Korea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 발행 : 2007.11.16

초록

21세기에 들어오면서 자연재해의 원인이 폭염, 지진, 해일, 태풍 등으로 다양화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연재해의 발생 빈도와 규모가 증가되면서 그로 인한 인명과 재산 피해의 규모도 대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세계 50여개 국가는 지구시스템 변화의 이해, 감시, 예측에 필요한 지구관측을 담당할 지구관측그룹(GEO) 설립에 동의하여 활동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GEOSS 과학기술 국제협력을 국가 차원에서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한국 GEOSS 구축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KGEO 사무국이 개설되어 활동하고 있다. 좀 더 발전적인 GEOSS 구축을 위하여 KGEO 사무국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협력하여 GEOSS 9개 편익분야에 관한 국내 현황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는 표준화, 정보시스템 운영 및 관리, 원시자료 및 메타데이터 보유현황, 인프라스트럭처, 기타 일반사항 등 5개 부분으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조사 결과는 향후 국가 전지구관측시스템 구축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게 될 것이다.

Entering 21st century, various natural disasters have been caused by the scorching heat wave, earthquake, tsunami, typhoon and so on. The casuality and damages have been drastically increased in terms of the frequency and magnitude. Therefore, 50 nations around the world agreed to build up the GEO(Global Earth Observation) in charge of the earth observation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earth system changes, monitoring and prediction and it is on operation. To keep the pace with GEOSS for the cooperation of Science & Technology and to successfully achieve the GEOSS project, KGEO office was established and has been on its duty. Moreover, for more prosperous building of the GEOSS, in cooperation with KGEO and KISTI(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we've conducted the survey of the domestic situation about 9 societal benefit areas of the GEOSS. This survey consists of 5 sections as follows: the standardization, the information system management, the raw data and metadata, the infrastructure, and the others. This survey results will be used as the basic material for establishing the National Global Earth Observation System.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