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성 정보 분석값을 통한 장년기 남성의 사상체질 분류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of a Middle-Aged Man Using Speech Signal Analysis

  • 김봉현 (한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이세환 (한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박선애 (한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가민경 (한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조동욱 (충북과학대학 정보통신과학과)
  • Kim, Bong-Hyun (Dept. of Computer Engineering, Hanbat National University) ;
  • Lee, Se-Hwan (Dept. of Computer Engineering, Hanbat National University) ;
  • Park, Sun-Ae (Dept. of Computer Engineering, Hanbat National University) ;
  • Ka, Min-Kyoung (Dept. of Computer Engineering, Hanbat National University) ;
  • Cho, Dong-Uk (Dept.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Science, Chungbuk Provincial University)
  • 발행 : 2007.11.09

초록

개인의 체질에 맞춰 의학적 행위를 시행하는 사상의학은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의학으로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이러한 사상의학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사상체질의 정확한 분류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사상체질 분류 방법인 용모사기, 체형기상, QSCCII, 체질침 등이 임상의들의 직관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상체질 분류의 정량화 및 객관화를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음성 신호 분석에서 발생하는 정보의 출력값에 의해 사상 체질을 분류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40대 이상의 장년기 남성을 대상으로 사상체질 전문의의 진단표에서 뚜렷한 특징을 보유하고 있는 집단군을 구성하고 이들의 음성 특성을 분류하여 음성학적 요소를 추출하고자 한다. 또한 출력된 결과값을 토대로 체질 집단별 차이점과 유사성을 분류하여 사상 체질 분류를 행하였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