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 얼굴 영상 및 울음소리 분석을 통한 소아 감기 질환과의 상관성 연구

A Study on Interrelationship of Baby Cold Diseases Using Baby Face Image and Crying Analysis

  • 김봉현 (한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이세환 (한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가민경 (한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박선애 (한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조동욱 (충북과학대학 정보통신과학과) ;
  • 오원근 (순천대학교 멀티미디어공학과)
  • Kim, Bong-Hyun (Dept. of Computer Engineering, Hanbat National University) ;
  • Lee, Se-Hwan (Dept. of Computer Engineering, Hanbat National University) ;
  • Ka, Min-Kyoung (Dept. of Computer Engineering, Hanbat National University) ;
  • Park, Sun-Ae (Dept. of Computer Engineering, Hanbat National University) ;
  • Cho, Dong-Uk (Dept.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Science, Chungbuk Provincial University) ;
  • Oh, Won-Geun (Dept. of Multimedia Engineering, Sunchon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7.11.09

초록

태어나면서부터 건강에 대한 욕구는 현대 사회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물론 어려서부터의 건강관리가 건강 수명 연장은 물론 가장 기본적인 행복한 삶의 추구까지도 보장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한의학에서 환자의 질병을 진단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망진(望診)과 청진(聽診)의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소아 감기 질환에 대한 진단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특히 소아감기는 일반적으로 제일 발병률이 높은 질환으로 얼굴 부위에 열을 동반한다는 것과 울음소리가 인체의 모든 조음기관과 연관되어 있다는 한의학적 이론을 기반으로 소아의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소아 감기와의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소아 감기 환자에 대한 1차 실험으로 얼굴 영상에서의 열 관련 여부에 대한 색상 분석을 행하였으며 2차 실험으로는 조음기관에 대한 성분음을 추출하는 스펙트럼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정상 소아와 감기 질환을 앓고 있는 소아 환자간의 차이점을 추출하고자 한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