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 RS 식생탄소저장능력의 공간분포 특성규명

Up-scaling Vegetation Carbon Storage Distribution Map of Pinus densiflora Stands from Plot to Landscape Level using GIS/RS

  • 김태민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 송철철 (고려대학교 환경GIS/RS센터) ;
  • 이우균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 손요환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 배상원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
  • 김춘식 (국립진주산업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Kim, T.M.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Song, C.C. (Environmental GIS/RS Center, KOREA University) ;
  • Lee, W.K.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Son, Y.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Bae, S.W. (Forest Practice Research Center,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im, C.S.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JINJU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7.10.05

초록

산림은 탄소저장능력이 있어 대표적인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저감시킨다. 따라서 산림의 탄소저장능력 특성을 규명하고 그것을 산림경영에 반영함으로써 온실가스 저감이라는 국제적 노력에 동참하는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임분에서의 탄소저장능력(Carbon Storage, CS)은 식생탄소저장능력(Vegetation Carbon Storage, VCS)과 토양탄소저장능력(Soil Carbon Storage, SCS)의 합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자생수종인 소나무림 VCS의 공간분포를 지엽적 범위(spot level)에서 광역적 범위(regional level)로 확대하여 그 특성을 규명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엽적 범위의 조사 및 연구에서 VCS는 임목의 흉고직경(Diameter at Breast Height)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관계와 Quickbird 고해상도 위성영상에서 추출한 소나무림 공간분포도를 이용해 경관범위(landscape level)에서 소나무림 탄소저장능력의 공간분포를 추정할 수 있었으며,그 결과를GIS 및 RS를 통해 광역적 범위로 확대하였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