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Peripheral Blood Flow and Heart Rate on CDMA Cellular Phone Exposure

CDMA 휴대폰 사용시 말초 혈류량 및 심박수의 변화 분석

  • Kim, Sung-Woo (Graduate Program in Biomedic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
  • Lee, Tak-Hyung (Dept. of Medical Engineering,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Lee, Ju-Hyung (Graduate Program in Biomedic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
  • Kim, Deok-Won (Dept. of Medical Engineering,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김성우 (연세대학교 대학원 생체공학협동과정) ;
  • 이탁형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공학교실) ;
  • 이주형 (연세대학교 대학원 생체공학협동과정) ;
  • 김덕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공학교실)
  • Published : 2007.10.26

Abstract

우리 일상생활과 밀접한 CDMA 휴대폰의 사용인구가 급증하면서 최근 전 세계적으로 휴대폰 전자파의 유해성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SM 및 기타 다른 통신방식을 대상으로 한 기존의 연구와 달리 CDMA 휴대폰을 사용할 때 방출되는 전자파가 인체의 심혈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청소년 집단(21명, 연령 $15.9{\pm}2.3$세)과 성인집단(21명, 연령 $25.9{\pm}5.6$세) 자원자를 대상으로 CDMA 휴대폰 사용 중의 말초 혈류량, 심박수 외에 혈압의 변화를 비 침습적으로 측정하였다. 청소년과 성인 간, 그리고 각 집단 내에서 휴대폰 전자파 노출에 따른 말초 혈류량, 맥박수 및 혈압의 변화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청소년과 성인 모두 말초 혈류량, 맥박수 및 철압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CDMA 휴대폰 전자파 노출은 인체의 심혈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