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the BMI on the automatic pulse dianosis in Korean Traditional Medicine

BMI가 한의맥 자동진단에 미치는 영향

  • Lee, Yu-Jung (Korea Instritute of Oriental Medicine Dept. of Medical Research) ;
  • Lee, Hae-Jung (Korea Instritute of Oriental Medicine Dept. of Medical Research) ;
  • Lee, Jeon (Korea Instritute of Oriental Medicine Dept. of Medical Research) ;
  • Kang, Jae-Hwan (Korea Instritute of Oriental Medicine Dept. of Medical Research) ;
  • Lee, Si-Woo (Korea Instritute of Oriental Medicine Dept. of Medical Research) ;
  • Kim, Jong-Yeol (Korea Instritute of Oriental Medicine Dept. of Medical Research)
  • 이유정 (한국한의학연구원 의료연구부) ;
  • 이혜정 (한국한의학연구원 의료연구부) ;
  • 이전 (한국한의학연구원 의료연구부) ;
  • 강재환 (한국한의학연구원 의료연구부) ;
  • 이시우 (한국한의학연구원 의료연구부) ;
  • 김종열 (한국한의학연구원 의료연구부)
  • Published : 2007.07.18

Abstract

한의학적 중요 진단방법의 하나인 맥진은 한의사 경험에 의해 구전되거나 전수되어 판단 기준이 모호하여 객관화 및 표준화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를 위해 한의사가 맥진에서 측정하는 물리적 요소를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는 맥진기 개발이 진행되었으며, 측정된 맥진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맥의 부/침, 허/실, 대/세의 정도를 판별할 수 있는 함수식을 만들어 향후 맥진을 자동으로 진단할 수 있도록 알고리즘을 산출하는 연구를 수행중이다. 그런데 맥진기는 환자의 맥파 신호 이외에 다른 정보를 고려하고 있지 않고 있지만 임상에서 한의사들은 환자의 키와 몸집 등 눈으로 관찰된 환자정보를 반영하여 맥진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환자의 기초 정보 중, BMI가 맥진에 영향을 줄 것으로 가정하고, BMI와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부/침, 허/실, 대/세의 판별함수 결과 값을 이용하여 BMI의 등급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침의 정도는 비만인 그룹에서 맥이 가라앉아있고 저체중인 그룹에서는 맥이 떠있는 경향이 나타났고, 대/세의 정도는 비만인 그룹에서는 맥의 굵기가 넓고 저체중의 집단에서는 맥의 굵기가 좁은 경향이 나타났다. 따라서 부/침, 대/세를 판별하는 진단 알고리즘을 개발할 경우 개인의 BMI를 고려한 진단 알고리즘이 연구되어야 하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