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식단계의 EA성숙도 측정을 위한 항목별 지침

A Guidance for Maturity Model Assessment of Enterprise Architecture In the Awareness phase

  • 발행 : 2006.11.10

초록

장기간동안 여러 기관의 협력을 통해 이루어지는 전사적 아키텍처(Enterprise Architecture, EA)의 특성상, 기관에서 EA를 도입부터 운영 및 정착, 그리고 고도화시키기 위해서는, 조직의 EA업무 수행 능력을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한 적합한 EA기준이 필요하다. 하지만 국내 EA에 대한 연구는 아직 도입단계이기 때문에, EA조직의 수준측정을 위한 EA성숙도모델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지 않다. 이러한 상황에 따라, EA조직의 수준측정을 위한 EA성숙도모델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지 않다. 이러한 상황에 따라, EA성숙도 모델을 정의하고, 측정을 위한 평가항목과 해당 지침을 제시하고자 한다. EA성숙도 모델은 CMMI의 연속형 모델을 참고하여, EA성숙도 모델의 선진사례 분석과 정부 '정보시스템의 효율적 도입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을 기반으로 하여 총 4개영역 15개평가요소를 정의하였다. 성숙도 단계는 인식부터 최적화 단계까지 총 5단계로 정의하였으며, 이 중에서 첫 번째 단계인 인식단계의 평가항복별 지침을 제시하였다. 이렇게 각 항목에 대한 측정 대상자들의 이해를 높임으로써 좀 더 정확한 성숙도 평가 결과와 이를 기반으로 EA고도화를 위한 좋은 기준을 제시하고자 정의하였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