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에서의 교무업무시스템 운영 현황과 과제 - 서울과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

Current Status and Tasks of Using the School Affairs System in Elementary Schools

  • 신지연 (청주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조미헌 (청주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Shin, Ji-Yean (Dept. of Computer Education, Ch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Jo, Mi-Heon (Dept. of Computer Education, Ch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발행 : 2006.08.10

초록

교육인적자원부는 교육행정 전반의 효율성을 높이고 교원 업무 환경 개선을 위해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을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개인정보보호 문제로 여러 단체와 갈등을 빚어오던 중, 2003년 12월 교무 학사, 입 진학, 보건 등 3개영역을 분리하여 별도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결정하고 2005년 시범학교 운영을 거쳐, 2006년에는 시스템을 전면적으로 운영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교무업무시스템의 운영 현황을 분석하고, 당면한 문제점과 관련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70%이상의 교사들이 교무업무시스템을 1일 평균 1-2회 접속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기존의 수기장부가 약간 줄어들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교사들은 교무업무시스템의 기능, 디자인, 편의성, 효율성 등에 대해 긍정적이었으며, 재택 처리가 가능해진 것을 가장 좋은 점이라고 응답했다. 또한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중요성을 알고 전자인증서를 관리한다는 응답이 많았으며, 가장 큰 문제점으로 접속의 어려움과 느린 시스템 속도 등 시설 측면의 개선이 요구되었다. 다수의 교사들이 시스템의 정착 후 교원의 업무가 경감되고 효율적으로 바뀔 것이라고 긍정적으로 응답했으나, 복잡해지고 이중 부담이 예측된다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연수프로그램 제공, 학교 시설의 전반적인 개선, 수기장부의 감축을 통한 실제적인 업무 경감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