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와 영어의 명사구 기계 번역

Korea-English Noun Phrase Machine Translation

  • 조희영 (한국해양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서형원 (한국해양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김재훈 (한국해양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양성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Cho, Hee-Young (Department of Computer Engineering, Korea Maritime University) ;
  • Seo, Hyung-Won (Department of Computer Engineering, Korea Maritime University) ;
  • Kim, Jae-Hoon (Department of Computer Engineering, Korea Maritime University) ;
  • Yang, Sung-Il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 Research Institute)
  • 발행 : 2006.10.13

초록

이 논문에서 통계기반의 정렬기법을 이용한 한영/영한 양방향 명사구 기계번역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정렬기법을 이용한 기계번역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않은 양의 병렬말뭉치(Corpus)가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병렬 말뭉치를 구축하기 위해서 웹으로부터 한영 대역쌍을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병렬 말뭉치와 단어 정렬 도구인 GIZA++ 그리고 번역기(decoder)인 PARAOH(Koehn, 2004), RAMSES(Patry et al., 2002), MARIE(Crego et at., 2005)를 사용하여 한영/영한 양방향 명사구 번역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약 4만 개의 명사구 병렬 말뭉치를 학습 말뭉치와 평가 말뭉치로 분리하여 구현된 시스템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한영/영한 모두 약 37% BLEU를 보였으나, 영한 번역의 성공도가 좀더 높았다. 앞으로 좀더 많은 양의 병렬 말뭉치를 구축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며, 지속적으로 병렬 말뭉치를 구축할 수 있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한국어 특성에 적합한 단어 정렬 모델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개발된 시스템을 다국어 정보검색 시스템에 직접 적용해서 그 효용성을 평가해보아야 할 것이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