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of Acceptance Factors and Usage of GSS on Organizational Member's Performance

GSS의 수용 요인과 GSS의 사용이 개인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강소라 (호서대학교 디지털비즈니스 학부) ;
  • 양희동 (이화여자대학교 경영대학) ;
  • 박현여 (신한은행 IT본부)
  • Published : 2006.11.30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조직 구성원의 협업을 위하여 도입되는 그룹지원시스템(group support system; GSS)를 대상으로 GSS의 사용에 미치는 영향과 GSS의 사용으로 인한 개인의 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개인의 기술수용 요인에 대한 연구에서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되어 온 기술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과 사용자의 과업과의 연관성을 고려한 과학기술적합(task-technology fit; TTF) 개념, 그리고 적응구조화이론(adaptive structuration theory; AST)을 통합하여 그룹 구성원들이 GSS의 도입의도에 맞게 사용하는 것이 개인과 조직의 성과를 향상시키는지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높은 TTF는 사용자들이 GSS에 대하여 지각하는 유용성과 용이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또한, TTF가 사용자들의 적절한 사용을 이끌고 있음을 검증하여 TTF 중심의 연구와 AST의 적절한 사용(faithfulness on appropriation; FOA)을 중심으로 하는 두 연구에 대한 통합 모델을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