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품질의 향상을 위한 두피절개 및 드레싱 방법의 개선 효과 분석;CT 영상안내에 의한 직선형 또는 S자형 두피절개와 액상 드레싱효과

  • 조준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신경외과학교실) ;
  • 김미영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 ;
  • 엄기수 (건국대학교 공과대학 산업공학과) ;
  • 박근상 (건국대학교 공과대학 산업공학과)
  • Published : 2006.11.17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의료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하여 제안된 뇌 전위적 영상안내에 의한 개두술 방법과 옥틸 시안화 아크렬산염 (2-octylcyanoacrylate: 2-0CA)을 드레싱 재료로 사용한 조사군과, 전통적 개두술 방법과 봉합사 및 아이오다인을 사용했던 대조군과 비교를 실시하여 의료품질 향상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특정 의료기관에서 26 례 조사군과, 38례 대조군을 대상으로, 임상적 특성, 감염균, 두피접착의 열개(裂開)성 및 기타 위험 인자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새롭게 제안된 의료용 재료인 2옥틸시안화 아크릴산염은 피부조직 속으로 외부 액체가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제한하였으며, 외피 접착기능으로 창상보호 특히, 평균감염률과 감염빈도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대조군보다 우수하였다. 한편 뇌 전위적 영상 안내에 의한 개두술 방법으로 수술시간의 단축과 수술 복잡성의 경감 및 위험성이 감소되었으며, 상처 부위 흔적이 적게 남는 등 미용적인 측면에서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