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nvestment Priority Item of Educational Facilities using AHP Method;Focused on Elementary ${\cdot}$ Middle ${\cdot}$ High school of Chungcheong-Namdo

AHP기법을 이용한 교육시설물 투자 우선순위 Item 도출에 관한 연구;충청남도 초 ${\cdot}$${\cdot}$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Published : 2006.11.1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rive a priority of investment in educational facilities by collecting and analyzing investment records from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Chung Nam area. In addition, the AHP survey and analysis were performed in order to draw the priority item in the educational facility improvement. Students, parents, teachers and a educational facility managers from those schools provided their opinions and data for the AHP stud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ctual investment-cost and a lack of educational facilities were found. A priority item based on the above study was derived which can be used to increase user's satisfaction in the educational facilitie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the educational facilities.

정부는 낙후된 학교환경을 개선하고 미래교육 수요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교육환경개선사업 계획을 수립하여 추진 중에 있다. 그러나 교육시설물 투자 우선순위를 고려하지 않은 교육환경개선사업은 국가 재정의 낭비를 초래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교육시설물의 투자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해 충청남도 소재 초 ${\cdot}$${\cdot}$ 고등학교의 교육시설물 투자실적 데이터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교육환경개선사업 우선순위 Item 도출을 위해 충청남도 소재 초 ${\cdot}$${\cdot}$ 고등학교의 학생 ${\cdot}$ 학부모 ${\cdot}$ 교직원 및 교육시설물관리 담당자들에게 AHP 설문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시설물의 투자비용 실적과 과부족 현황 파악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투자 시 사용자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는 우선순위 Item을 발굴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교육시설물 투자 시 사용자 만족도 향상 및 미래지향적 학교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국가예산의 효율적인 집행과 함께 국가예산의 중복투자를 줄이는데 효과적인 적용을 기대해 볼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