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relation between brain activity related ambiguity and presence on inferring from information received during virtual reality

가상현실에서 전달된 정보에 대한 추론 시 정보의 모호함의 차이에 따른 뇌 활성화와 presence 의 관계

  • Lee, Hyeon-Rae (Department of Biomedical Engineering, Hanynag University) ;
  • Ku, Jeong-Hun (Department of Biomedical Engineering, Hanynag University) ;
  • Kim, Kwang-Uk (Department of Biomedical Engineering, Hanynag University) ;
  • Kim, So-Young (Institute of Behavioral Science in Medicine, Yonsei University Severance Mental Health Hospital) ;
  • Yoon, K.J. (St. Peter's Hospital) ;
  • Kim, In-Young (Department of Biomedical Engineering, Hanynag University) ;
  • Kim, Chan-Hyung (Institute of Behavioral Science in Medicine, Yonsei University Severance Mental Health Hospital) ;
  • Kim, Jae-Jin (Institute of Behavioral Science in Medicine, Yonsei University Severance Mental Health Hospital) ;
  • Kim, Sun-I. (Department of Biomedical Engineering, Hanynag University)
  • 이형래 (한양대학교 의공학교실) ;
  • 구정훈 (한양대학교 의공학교실) ;
  • 김광욱 (한양대학교 의공학교실) ;
  • 김소영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정신건강병원 행동과학연구실) ;
  • 윤강준 (강남 베드로 병원) ;
  • 김인영 (한양대학교 의공학교실) ;
  • 김찬형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정신건강병원 행동과학연구실) ;
  • 김재진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정신건강병원 행동과학연구실) ;
  • 김선일 (한양대학교 의공학교실)
  • Published : 2006.02.13

Abstract

가상현실에서 구현한 환경을 사용자가 실제처럼 느끼고 그 내용을 받아들이도록 하는 것은 중요한 목표이다. presence 는 "어떤 특정한 또는 이해할 수 있는 장소에 존재한다고 생각하는 인간의 지각" 상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presence 는 가상환경에서 사용자가 얼마나 그 가상환경을 실제로느끼는지를 알 수 있는 중요한 파라미터 중 하나 이다. 또한 Presence 는 가상현실에서 경험하게 되는 여러가지 감각적인 정보들을 통하여 느끼는 종합적인 느낌을 반영하는 파라미터 이다. 따라서 같은 가상현실을 경험한다 할지라도 개인마다 느끼는 presence 는 차이가 있을 것이고 이러한 차이는 가상환경이 제공하는 정보의 차이에 대한 인식과 처리에 있어서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차이는 관련된 뇌 영역의 활성화의 차이로 나타날 것이다. 가상현실 컨텐츠는 아바타를 통해서 정보를 전달하고 피험자가 그 내용을 바탕으로 생각해보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아바타가 전달하는 내용은 명확하게 모든 정보를 알려주는 과제 와 중요한 정보를 생략하고 알려주는 과제 두 가지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피험자 개개인이 각각의 내용을 바탕으로 추론하는 동안 뇌 영역 활성화의 차이와 가상현실 경험 동안의 presence 점수와 관련된 뇌 영역을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Right Lingual Gyrus (16, -95, 14), Left Lingual Gyrus (-15, -88, -16), Right Fusiform Gyrus (35, -81, -14), Right Lingual Gyrus (3, -67, 3), Left Inferior Temporal Gyrus (-43, -1, -36), Left Anterior Cingulate (0, -38, -10), Right Posterior Cingulate (2, -50, 10)에서 유의미한 상관 관계가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