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환경에서의 Multi Modal 인터페이스

A Multi Modal Interface for Mobile Environment

  • 서용원 (광주과학기술원 인간-기계-컴퓨터 인터페이스 연구실) ;
  • 이범찬 (광주과학기술원 인간-기계-컴퓨터 인터페이스 연구실) ;
  • 이준훈 (광주과학기술원 인간-기계-컴퓨터 인터페이스 연구실) ;
  • 김종필 (광주과학기술원 인간-기계-컴퓨터 인터페이스 연구실) ;
  • 류제하 (광주과학기술원 인간-기계-컴퓨터 인터페이스 연구실)
  • Seo, Yong-Won (Human-Machine-Computer Interface Lab Department of Mechatronics,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 Lee, Beom-Chan (Human-Machine-Computer Interface Lab Department of Mechatronics,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 Lee, Jun-Hun (Human-Machine-Computer Interface Lab Department of Mechatronics,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 Kim, Jong-Phil (Human-Machine-Computer Interface Lab Department of Mechatronics,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 Ryu, Je-Ha (Human-Machine-Computer Interface Lab Department of Mechatronics,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발행 : 2006.02.13

초록

'Multi modal 인터페이스'란 인간과 기계의 통신을 위해 음성, 키보드, 펜을 이용, 인터페이스를 하는 방법을 말한다. 최근 들어 많은 휴대용 단말기가 보급 되고, 단말기가 소형화, 지능화 되어가고,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도 다양해짐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입력 방법에 기대치가 높아가고 있다. 현재 휴대용 단말기에 가능한 입력장치는 단지 단말기의 버튼이나 터치 패드(PDA 경우)이다. 하지만 장애인의 경우 버튼이나 터치 패드를 사용하기 어렵고, 휴대용 단말기로 게임을 하는데 있어서도, 어려움이 많으며 새로운 게임이나 어플리케이션 개발에도 많은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이런 문제점들은 극복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의 새로운 Multi Modal 인터페이스를 제시 하였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를 이용하여 더 낳은 재미와 실감을 줄 수 있는 Multi Modal 인터페이스를 개발하였다. 센서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손목으로 제어를 가능하게 함으로서, 사용자에게 편리하고 색다른 입력 장치를 제공 하였다. 향후 음성 인식 기능이 추가 된다면, 인간과 인간 사이의 통신은 음성과 제스처를 이용하듯이 기계에서는 전통적으로 키보드 나 버튼을 사용하지 않고 인간처럼 음성과 제스처를 통해 통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여기에 진동자를 이용하여 촉감을 부여함으로써, 그 동안 멀티 모달 인터페이스에 소외된 시각 장애인, 노약자들에게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실제로 사람은 시각이나 청각보다 촉각에 훨씬 빠르게 반응한다. 이 시스템을 게임을 하는 사용자한테 적용한다면, 능동적으로 게임참여 함으로서 좀더 실감나는 재미를 제공할 수 있다. 특수한 상황에서는 은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앞으로 개발될 모바일 응용 서비스에 사용될 수 있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