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해생성된 염소에 의한 구리 침출 연구

Leaching of copper using electro-generated chlorine in hydrochloric acid solution

  • 김은영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자원순환공학부) ;
  • 김민석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자원활용소재연구부) ;
  • 이재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자원활용소재연구부) ;
  • 정진기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자원활용소재연구부)
  • Kim, Eun-Young (Resources Rewcycling,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
  • Kim, Min-Seuk (Minerals & Materials Processing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
  • Lee, Jae-Chun (Minerals & Materials Processing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
  • Jung, Jin-Ki (Minerals & Materials Processing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 발행 : 2006.05.18

초록

전해 생성된 염소를 이용하여 구리를 침출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염산농도 $1molL^{-1}$, 반응온도 $25^{\circ}C$, 교반속도 400rpm 조건에서 전류밀도 $10mA/cm^{2}$의 경우 반응온도에 상관없이 구리의 침출속도가 동일하였으나 $Cl_{2}$ 생성량이 충분한 $40mA/cm^{2}$의 경우 온도가 높을수록 구리의 침출속도가 증가하였다. 침출된 구리농도가 6g/L 부근에 도달하면 염소의 공급속도에 상관없이 구리의 침출이 둔화되었다. 이는 구리-염소 착화물의 형성과 관련된 것으로 생각된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