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원 탄성파 지대공 토모그래피 현장 적용

Field Application of 3D seismic travel-time tomography

  • 문윤섭 ((주) 지오맥스 지반공학부) ;
  • 하희상 ((주) 지오맥스 기술연구소) ;
  • 임해룡 ((주) 지오맥스 기술연구소) ;
  • 고광범 ((주) 지오맥스 기술연구소)
  • Moon, Yun-Seop (Geotechical Engineering Div., Geomax Co., Ltd.) ;
  • Ha, Hee-Sang (Research Institute of Techonology, Geomax Co., Ltd.) ;
  • Lim, Harry (Research Institute of Techonology, Geomax Co., Ltd.) ;
  • Ko, Kwang-Beom (Research Institute of Techonology, Geomax Co., Ltd.)
  • 발행 : 2006.06.08

초록

본 연구는 지표 및 시추공을 동시에 이용하는 3차원 탄성파 지대공 토모그래피 사례연구로서 계곡 하상부의 주요 구조선의 존재 및 그 연장 등 정밀한 3차원적 정보를 파악하고자 시도한 사례연구이다. 현장자료는 댐 제체의 하상부($200m{\times}200m$)로서 영역 내 총 12개 시추공을 이용하여 공대공(Hole to Hole) 및 지대공(Reverse VSP) 배열에 의한 탄성파 자료의 조합으로서 자료를 취득하였다. 역산 알고리즘은 입방체 내 암영대의 존재를 최소화할 수 있는 프레넬 볼륨에 기반한 3차원 탄성파 주시토모그래피 기법을 적용하였다. 역산과정을 거쳐 도출한 하상부 3차원 탄성파 속도 입방체는 지표지질 및 시추조사에서 확인된 단층의 존재를 명확히 보여주었다.

3D travel time tomography was conducted to characterize the subsuface structure in the valley area. In this study, an area($200m{\times}200m$), where borehole informations were available to aid in the interpretation, was covered with wide source/receiver coverage. In data acquisition, both hole to hole and reverse VSP array was employed. For the inversion, 3D seismic traveltime tomography algorithm based on Fresnel volume was implemented. When compared 3D velocity cube with the geological survey and drilling logs, both results were matched well. From this, we concluded that 3D seismic travel time tomography has enough potential to the field applica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