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생식물과 발포유리를 이용한 수질정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water purification capacity by aquatic plants and foamed glass

  • 조해용 (선문대학교 환경공학과) ;
  • 김형주 (선문대학교 환경공학과)
  • Cho, Hae-Yong (Dep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Sunmoon University) ;
  • Kim, Hyung-Ju (Dep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Sunmoon University)
  • 발행 : 2006.11.02

초록

COD 제거효율은 각 조의 부처꽃을 제외한 대조군의 경우 물상추 56%, 달뿌리풀 48%, 미나리 41%의 제거효율을 보이고, 발포유리가 첨가된 조의 경우는 물상추 69%, 달뿌리풀 68% 미나리 62%의 제거효율을 보임으로써 발포유리를 첨가한 조의 COD 제거효율이 대조군 보다 높았다. T-N의 제거효율은 발포유리를 첨가한 조의 경우 부처꽃 91%, 달뿌리풀 93%와 발포유리를 첨가한 혼합조가 94%의 높은 T-N 제거효율 보임으로써 모든 질소성분이 제거된 것으로 사료된다. T-P의 제거효율은 대조군의 부처꽃 35%, 달뿌리풀 8%이며, 발포유리를 첨가한 조의 부처꽃 78%, 달뿌리풀 43%로 발포유리를 첨가한조의 T-P 제거효율이 대조군 보다 높았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