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easonal Variation of Water Quality and Sediment Environment in Gwangyang Bay, Korea

$2004\sim2005$년 광양만의 해양수질 및 저질의 계절적 변동에 관한 연구

  • Cho, Hyeon-Seo (Faculty of Marine Technology, College of Fisheries and Ocean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Cho, Chon-Rae (Faculty of Marine Technology, College of Fisheries and Ocean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Kang, Jo-Hae (Faculty of Marine Technology, College of Fisheries and Ocean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Kyu-Hyong (Faculty of Marine Technology, College of Fisheries and Ocean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조현서 (전남대학교 수산해양대학 해양기술학부) ;
  • 조천래 (전남대학교 수산해양대학 해양기술학부) ;
  • 강조해 (전남대학교 수산해양대학 해양기술학부) ;
  • 이규형 (전남대학교 수산해양대학 해양기술학부)
  • Published : 2006.05.12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haracterize the seasonal variation of water quality and sediment environment from May, 2004 to February, 2006 in 21 stations of Gwangyang bay. Gawngyang bay is located in the middle of south coast of Korea and semi-dosed with Yeosu peninsula, Gwangyang-city and Namhea-do. Water quality at the west coast of Myo-do were highly deteriorated than other stations. At summer season(July 2005), the concentration of the most analytical items were highly detected than other seasons and the lowest concentration was at the winter season(January 2005, February 2006). Especially, DIP and TP were highly detected around the coast of Yeosu industrial complex. N/P ratio were higher than 16 of Redfield ratio in the spring(May 2005) and winter(February 2006) at the surface layer. While at other seasons and most stations were lower than 16 of Redfield ratio. In the survey of sediment environment, ignition loss(IL), chemical oxygen demand(COD) and acid volatile sulfide(AVS) were in the range of $2.51\sim22.10%,\;2.65\sim48.41mg/g-dry\;and\;0.01\sim8.95mg/g-dry$, respectively. COD in surface sediment was highest at summer season AVS was highest at autumn. In sediment, the corelationship coefficients between COD and IL, COD and AVS were 0.65 and 0.44, respectively.

광양만 해양수질 및 저질의 계절적 변동에 관한 조사를 위해 2004년 5 월부터 2006년 2 월까지 광양만의 21개 정점을 선정하여 계절별로 관측을 실시하였다. 수질의 관측결과 폐쇄적인 내만해역의 특성을 잘 반영해 영양염류 등의 농도가 만의 내측인 묘도 서측에서 다른 곳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를 보였다. 계절적 변동은 계절의 주요인자인 수온과 강우의 영향을 많이 받은 하계 (2000년 7월)에 가장 높은 농도분포를 보였으며, 동계 (2005년 1월, 2003년 2월)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농도분포를 보였다. DIP 와 TP 의 경우 춘계를 제외한 전 계절에 걸쳐 여수국가산단이 위치한 일부지점에서 높은 농도를 보였다. NIP 비의 경우 Redfield 비를 상회하는 값은 주로 표층해수에서 춘계 (2005년 5월), 동계 (2006년 2월) 에 나타났으며, 저층해수에서는 거의 모든 정점에서 Redfield 비 이하의 값을 보였다. 저질환경의 변동에서 강열감량 (IL), 화학적산소요구량 (COD) 과 산휘발성황화물 (AVS) 의 농도범위는 각각 $2.51\sim22.10%,\;2.65\sim48.41mg/g-dry,\;0.01\sim8.95mg/g-dry$를 보였다. COD 는 하계에 높은 농도를 보였고, AVS 는 추계에 높은 농도분포를 보였으며, 성진강 하구와 묘도서측해역에서 다른 지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저질의 경우 COD 와 IL, COD 와 AVS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상관계수는 각각 0.65 와 0.44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