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ign Language Gesture Recognizer using Data Glove and Motion Tracking System

장갑 장치와 제스처 추적을 이용한 수화 제스처 인식기의 실계 및 구현

  • Kim, Jung-Hyun (Schoo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
  • Roh, Yong-Wan (Schoo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
  • Kim, Dong-Gyu (Schoo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
  • Hong, Kwang-Seok (Schoo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 김정현 (성균관대학교 정보통신공학부) ;
  • 노용완 (성균관대학교 정보통신공학부) ;
  • 김동규 (성균관대학교 정보통신공학부) ;
  • 홍광석 (성균관대학교 정보통신공학부)
  • Published : 2005.11.19

Abstract

수화의 인식 및 표현 기술에 대한 관련 연구는 수화 인식을 통한 건청인과의 의사 전달, 가상현실에서의 손동작 인식 등을 대상으로 여러 방면으로의 접근 및 연구 결과를 도출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연구의 대부분 데스크탑 PC기반의 수신호(Hand signal) 제어 및 수화 - 손 동작 인식에 목적을 두었고 수화 신호의 획득을 위하여 영상장비를 이용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단어 위주의 수화 인식 및 표현에 중점을 둔 수화 인식 시스템의 구현을 통해 비장애인과의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추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햅틱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의미있는 수화 제스처를 획득하기 위한 접근 방식을 차세대 착용형 PC 플랫폼 기반의 유비쿼터스 환경으로 확대, 적용시켜 제스처 데이터 입력 모듈로부터 새로운 정보의 획득에 있어 한계성을 극복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효율적인 데이터 획득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퍼지 알고리즘 및 RDBMS 모듈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에서나 사용자의 의미 있는 문장형 수화 제스처를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표현하는 수화 제스처 인식기를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수화 제스처 입력 모듈(5th Data Glove System과 $Fastrak{\circledR}$)과 차세대 착용형 PC 플랫폼(embedded I.MX21 board)간의 이격거리를 반경 10M의 타원 형태로 구성하고 규정된 위치로 수화 제스처 데이터 입력모듈을 이동시키면서 5인의 피실험자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20회의 반복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사용자의 동적 제스처 인식 실험결과 92.2% 평균 인식률을 도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