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효율 자외선/광촉매 시스템을 이용한 고농도 유기성 폐수처리

  • 정효기 (조선대학교 생물신소재학과) ;
  • 김중곤 (조선대학교 생물신소재학과) ;
  • 김시욱 (조선대학교 환경공학부)
  • Published : 2005.04.15

Abstract

Food wastewater derived from three-stages methane fermentation system showed high concentrations of sCOD, T-N and $NH_{3}-N$. To treat the organic wastewater, the optimal operating conditions for high efficiency $UV/TiO_{2}$ photocotalytic system have been investigated. In the first process, wastewater was pre-treated with $FeCl_{3}. The optimum pH and concentration for coagulation were 4.0 and 2000 mg/L, respectively. Through this process, 52.6% of $COD_{cr}$ was removed. The second process was $UV/TiO_{2}$ photocatalytic reaction. The optimum conditions for the operation of $UV/TiO_{2}$ photocatalytic system developed in this lab have been studied. In this process, CODcr was removed from 2890 to 184 mg/L and T-N was removed from 2496 to 914 for 24 hours, respectively.

음식물 폐기물을 3단계 메탄발효 공정을 이용하여 처리하였을 때 배출되는 발효폐액은 거의 액상으로 고농도의 sCOD, T-N and $NH_{3}-N$를 함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3단계 메탄 발효 후 최종 유출되는 고농도의 유기성 폐수를 물리${\cdot}$화학적 응집 및 침전을 이용하여 전처리 한 후 고효율 자외선/광촉매 시스템을 이용하여 후속 처리를 하고자 하였다. $FeCl_{3}$를 이용하여 전처리하였을 때 최적 pH 및 농도는 4와 2000 mg/L로 52.6%의 COD제거율을 보였다. 고효율 자외선/광촉매 시스템의 경우 24시간 동안 COD는 2890 mg/L에서 184 mg/L로 감소하였으며, T-N은 2496 mg/L에서 914 mg/L로 감소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