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ettlement Restraint of the Granular Compaction Pile

조립토 다짐말뚝의 침하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5.10.28

Abstract

Stone column or granular compaction pile have been used in widely during the several decades as a technique to reinforce soft cohesive soils and increase bearing capacity, accelerate consolidation settlement of the foundation soil. The bearing capacity of the granular compaction pile is governed mainly by the lateral confining pressure mobilized in the native soft soil to restrain bulging collapse of the granular pile. Therefore, the technique becomes unfeasible in soft, compressible clayey soils that do not provide sufficient lateral confinement. This paper presents the main results of numerical study of granular compaction pile which is partly mixed with lean concrete. 3D finite element analyses are performed with composite reinforced foundations by both granular compaction pile and partly mixed granular compaction pile with lean-mixed concrete.

본 연구에서는 조립토 다짐말뚝의 적용범위를 보다 연약한 지반에까지 폭넓게 활용하고자 하는 목적의 일환으로 등입도 콘크리트로 보강한 조립토 다짐말뚝공법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등입도 콘크리트에 대한 배합설계를 실시하고, 압축강도시험을 통한 강성 및 강도 특성의 규명과 변수위 투수시험을 통해 빈배합 콘크리트 공시체의 배수기능이 유지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2) 등입도 콘크리트에 대한 실내시험으로부터 도출된 강성 및 강도특성을 고려하고, 보강심도 및 치환율을 다향하게 가정한 조건하에서의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여 각각의 조건에 따른 침하저감효과를 확인한 결과, 보강심도가 깊어지고 치환율이 커질수록 기존 조립도 다짐말뚝에 대한 침하억제효과가 커짐을 알 수 있었다. (3) 본 연구를 통해 등입도 콘크리트로 보강한 조립토 다짐말뚝의 적용가능성과 아울러 침하감소 효과를 파악하였으며, 기존 조립토 다짐말뚝의 침하량에 비해 보강심도, 치환율 등을 고려한 등입도 콘크리트로 보강된 조립토 다짐말뚝의 침하량이 억제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향후에는 현장여건을 감안한 등입도 콘크리트의 다양한 배합비별 침하감소효과에 대한 규명과 함께 본 연구에서 제안된 공법의 현장적용성을 파악하기 위한 실물모형시험 또는 시험시공 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