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sting the research model predicting the turnover intention among salespersons

영업사원의 이직의도 예측 모형 검증: 대안적 회사 매력도의 영향

  • 전광호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
  • 장재윤 (성신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Published : 2005.12.09

Abstract

This research introduced the concept of 'alternative attractiveness' derived from the social exchange theory to the research model predicting turnover intention among salesforce. By doing so, we tried to broaden the understandings of relationship between salesperson job attitude and salesperson behavior. We collected and analysed the data from the survey on the 178 salespeople employed at the life insurance companies. We found the alternative attractiveness to be a significant antecedent of the turnover intention. Specifically, the more attractive the alternative the greater the intention of turnover. However, we also found that the salesforces are less attracted to the alternative if they are more satisfied with their jobs. Finally, this research can be a seminary work with the relational perspective for the studies of salesforce management.

영업사원의 이직의도 또는 행동을 설명하는 기존 연구들에서는 주로 역할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요인들과 직무관련 태도 및 성과변인들이 이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고찰해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존 연구들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보고자 사회교환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대안적 회사 매력도라는 개념을 영업사원의 이직의도를 설명하는 연구모형에 새롭게 포함하였다. 생명보험업계에 종사하고 있는 영업사원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이직의도에는 대안적 회사의 매력도가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성과와 만족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직의도의 중요한 선행변수로서 밝혀져 왔던 조직몰입은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역할모호성은 직무성과와 만족 모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역할갈등은 직무성과에만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