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xperimental Study of Flow Characteristics Past vortical wall with Bottom Gap

수직벽 하부에 있는 틈새 후방의 유동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조대환 (목포해양대학교 기관시스템공학부) ;
  • 이경우 (목포해양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부) ;
  • 오경근 (목포해양대학교 대학원)
  • Published : 2005.11.01

Abstract

The turbulent shear flaw around a surface-mounted vertical wall was investigated using the two-frame PIV(CACTUS 3.1) system. From this study, it is revealed that at least 500 instantaneous velocity field data are required for ensemble average to get reliable turbulence statistics, but only 200 field data are sufficient for the time-averaged mean velocity information The flow has an unsteady recirculation region post vertical wall with bottom gap, followed by a slow relaxation to the fiat-plate boundary layer flow. The time-averaged reattachment length estimated from the streamline distribution is about x/H=3H. The large eddy structure in the separated shear layer seems to have signification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the separated shear layer and the reattachment process.

표면에 부착된 수직벽 후방의 난류전단흐름을 입자영상유속계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하부 틈새를 갖는 수직벽 후류영역에서는 박리 후 비정상적인(unsteady) 재순환 영역이 형성되었으며, 약 x=3H위치에서 전단층의 재부착 및 난류경계층으로의 재발달 과정이 나타났다. 수직벽 직전의 오목한(concave) 유선곡률과 수직벽 후방의 볼록한(convex)유선곡률의 영향은 수직벽 주위에서 가장 크게 나타나고, 하류로 나아감에 따라 전단층 주위 유체의 유입 등으로 그 영향이 박리 전단층 내에서 커다란 와구조가 연속적으로 발생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