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ffective strategies for GIS standardization

GIS발전을 위한 표준화 방안

  • 홍상기 (안양대학교 도시정보공학과)
  • Published : 2005.11.18

Abstract

Standards are essential to facilitate the efficient use of GIS data. International Standards such as ISO TC211's 19100 series and various technical specifications from OpenGIS Consortium are some of the examples of efforts to maintain the interoperability among GIS applications. This paper aims to provide the effective policy directions that can increase the use of GIS standards by providing the comprehensive list of priorities in developing GIS standards. This paper reviews the current status of the use of GIS standards in the field and analyses the use pattern. Also this paper examines the need for revision of the existing standards and new standardization efforts based on the current status of International Standard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use pattern of the current GIS standard, this paper suggests a policy directions which emphasizes the need for more efforts in standardiz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s standards and more coordination among all standard-related stakeholders in government and industry.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진행되어온 표준화 작업의 결과물인 GIS 국가표준 및 단체표준의 활용현황을 분석하여 표준화 과정의 문제점을 밝히고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표준화 추진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GIS 표준의 활용성을 국제표준 및 국내표준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향후 국가표준화가 시급한 국제표준들에 관하여서도 조사하였다. 아울러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표준화 대상의 선정 및 우선순위를 도출하고 표준 활용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여 향후 표준화활동이 전체적인 국가GIS발전에 밑거름이 될 수 있는 추진전략을 제시하였다. 현재 GIS 표준의 활용범위는 극히 제한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전문가들 및 사업추진담당자들은 표준이 향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점을 잘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국가적인 차원에서 지속적인 수요조사를 통해 현장에서 중요하게 사용되는 표준들을 중심으로 표준화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체계적으로 표준화 작업을 수행한다면 보다 효율적인 표준화가 추진될 수 있을 것이며 표준의 활용도도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데이터 구축 측면의 표준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표준의 궁극적인 목표는 상호운용성의 확보를 통한 효율성의 제고라는 점을 생각했을 때 향후 지리정보 서비스관련 표준의 중요성이 한층 높아질 것으로 생각되므로 이 부분의 표준화 작업에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