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ing a Mobile User Interface with Grip-Pattern Recognition

파지 형태 감지를 통한 휴대 단말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

  • Chang Wook (Interaction Lab, Samsung Advanced Institute of Technology) ;
  • Kim Kee Eung (Interaction Lab, Samsung Advanced Institute of Technology) ;
  • Lee Hyunjeong (Interaction Lab, Samsung Advanced Institute of Technology) ;
  • Cho Joon Kee (Interaction Lab, Samsung Advanced Institute of Technology) ;
  • Soh Byung Seok (Interaction Lab, Samsung Advanced Institute of Technology) ;
  • Shim Jung Hyun (Interaction Lab, Samsung Advanced Institute of Technology) ;
  • Yang Gyunghye (Interaction Lab, Samsung Advanced Institute of Technology) ;
  • Cho Sung Jung (Interaction Lab, Samsung Advanced Institute of Technology) ;
  • Park Joonah (Interaction Lab, Samsung Advanced Institute of Technology)
  • 장욱 (삼성종합기술원 인터랙션 랩) ;
  • 김기응 (삼성종합기술원 인터랙션 랩) ;
  • 이현정 (삼성종합기술원 인터랙션 랩) ;
  • 조준기 (삼성종합기술원 인터랙션 랩) ;
  • 소병석 (삼성종합기술원 인터랙션 랩) ;
  • 심정현 (삼성종합기술원 인터랙션 랩) ;
  • 양경혜 (삼성종합기술원 인터랙션 랩) ;
  • 조성정 (삼성종합기술원 인터랙션 랩) ;
  • 박준아 (삼성종합기술원 인터랙션 랩)
  • Published : 2005.11.01

Abstract

This paper presents a novel user interface system which aims at easy controlling of mobile devices. The fundamental concept of the proposed interface is to launch an appropriate function of the device by sensing and recognizing the grip-pattern when the user tries to use the mobile device. To this end, we develop a prototype system which employs capacitive touch sensors covering the housing of the system and a recognition algorithm for offering the appropriate function which suitable for the sensed grip-pattern. The effectiveness and feasi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is evaluated through the test of recognition rate with the collected grip-pattern database.

본 논문에서는 휴대 단말기의 조작을 손쉽게 할 수 있는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본 개념은 사용자의 휴대 단말 파지 형태를 감지 및 인식해 해당 파지 형태에 가장 적절한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파지 형태를 감지할 수 있는 정전 용량 기반 터치 센서를 디스플레이 부를 제외한 모든 면에 장착하고 감지된 파지 형태에 가장 적합한 기능을 제안하는 인식 알고리즘을 장착한 시제품을 제작한다. 제안된 방법의 효용성을 실제 사용자파지 형태 데이터에 기반한 인식률을 측정해 검증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