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적인 SCORM 콘텐츠의 모바일 적응화

Mobile Adaptation for Basic SCORM Contents

  • 심진욱 (한양대학교 정보통신 대학원) ;
  • 장병철 (한양대학교 정보통신 대학원) ;
  • 이승욱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
  • 차재혁 (한양대학교 정보통신 대학원)
  • Shim Jinwook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Hanyang University) ;
  • Chang Byoungchol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Hanyang University) ;
  • Lee Seung-Wook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 Cha Jae Hyuk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Hanyang University)
  • 발행 : 2004.11.01

초록

유비쿼터스 시대의 도래에 발맞춰 유저가 콘텐츠를 이용하는 방법과 사용하는 기기는 PC에 머물지 않고 점차 다양화, 소형화 되고 있다. 최근, 많은 콘텐츠 중에서 e러닝 콘텐츠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고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e러닝 콘텐츠를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합한 콘텐츠로 동적 변환하는 모듈을 제안한다. CC/PP 기반의 디바이스 프로파일과 사용자 정보를 포함한 유저 프로파일, 콘텐츠 구성정보를 가진 콘텐츠 프로파일을 통합하여 특성을 추상화 한다. 추상화 된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변환방법을 생성하여 콘텐츠에 적용함으로서 해당 디바이스에 적합한 콘텐츠로 적응화 한다. 기존 HTML의 경우 잘 구성된(Well-formed)문서가 아닌 경우가 많고, 문서 내에 데이터와 구조정보를 모두 포함하고 있으므로, 요구되는 데이터의 추출과 정형화된 변환룰의 적용에 어려움이 따른다. 그 대안으로 본 적응화 모듈은 문서의 데이터와 표현 구조를 분리 할 수 있는 XML/XSL 기반의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e러닝 콘텐츠의 특성에 적합한 콘텐츠 프리패치 및 캐시 기법을 적용하여 콘텐츠 동적변환에 따른 응답시간 오버헤드를 최소화 하였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