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테이너 터미널의 차세대 안벽크레인 생산성 비교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Productivity of Next Generation Quay Crane in Container Terminal

  • 하태영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운물류항만연구센터) ;
  • 최용석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운물류항만연구센터)
  • Ha Tae-Young (Shipping, Logistics and Port Research Center, Korea Maritime Institute) ;
  • Choi Yong-Seok (Shipping, Logistics and Port Research Center, Korea Maritime Institute)
  • 발행 : 2004.11.01

초록

본 연구에서는 수직배치형 블록을 가지는 컨테이너 터미널을 대상으로 안벽에서 컨테이너의 양${\cdot}$적하 작업을 담당하는 안벽크레인(Q/C)에 대한 하역생산성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이 되는 안벽크레인의 유형은 기존의 싱글트롤리 타입외에 차세대 안벽크레인으로 인식되고 있는 듀얼트롤리, 더블트롤리, 수직순환식의 하역방식을 가지는 장비에 대한 하역생산성을 순작업시간당 생산성 측면에서 이들 하역장비의 성능을 측정해 보았다. 이들 차세대 컨테이너 크레인은 기존의 싱글트롤리 타입의 장비에 비해 기계적 싸이클 타임이 짧으며, 선회방식이 상이하여 현재의 싱글 트롤리타입보다 하역생산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보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제시된 4가지 유형의 안벽크레인에 대해 작업싸이클타임과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하여 기계적생산성과 순작업생산성을 산출하였다.

This paper analyzed productivity of quay cranes on container terminal that have perpendicular yard layout block. In most existing container terminals, quay cranes of single trolley type are used to loading and unloading containers, but quay crane productivity of these type has many limitation about large size containership. For these reasons, recently quay cranes of various type that mn improve productivity are developed and as the representative example, dual trolley, double trolley, supertainer are developing. These cranes are realized that very high productivity bemuse their cycle time is short more than existent single trolley quay crane. Therefore, we analyzed productivity of these cranes that are realized by next generation crane alternatives and as result qf this research, mechaniml productivity by cycle time and net productivity by simulation were measur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