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retreatment of Activated Sludge for Bio-hydrogen Production process

생물학적 수소생산 공정 개발을 위한 오니 슬러지 전처리에 대한 연구

  • Kim Dong Kkun (Water Environmental & Remediation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Science and Technology) ;
  • Kim Ji Seong (Water Environmental & Remediation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Science and Technology) ;
  • Kim Ho Il (Water Environmental & Remediation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Science and Technology) ;
  • Lee Yu Na (Water Environmental & Remediation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Science and Technology) ;
  • Pak Dae Won (Water Environmental & Remediation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Science and Technology)
  • 김동건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수질환경 및 복원 연구센타) ;
  • 김지성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수질환경 및 복원 연구센타) ;
  • 박호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수질환경 및 복원 연구센타) ;
  • 이유나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수질환경 및 복원 연구센타) ;
  • 박대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수질환경 및 복원 연구센타)
  • Published : 2004.07.01

Abstract

In this study, Anaerobic sewage sludge in a batch reactor operating at $35^{\circ}C$ was used as the se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etreatments of waste activated sludge and to evaluate its hydrogen production potential by anaerobic fermentation. Various pretreatments including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means were conducted to utilize for substrate. As a result, SCODcr of alkali and mechanical treatment was 15 and 12 times enhanced, compared with a supernatant of activated sludge. And SCODcr was 2 time increase after re-treatment with biological hydrolysis. Those were shown that sequential hybridized treatment of sludge by chemical & biological methods is most efficient process for sludge treatment. The pre-treatment activated sludge was tested to conform hydrogen production potential in batch experiments. When buffer solution was added to the activated sludge, hydrogen production potential increased as compare with no addition.

본 연구에서는 혐기성 발효조건에서 오니슬러지의 전처리에 대한 영향과 수소생산 잠새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회분식 반응기를 이용하여 $35^{\circ}C$에서 혐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다양한 전처리 조건의 오니슬러지를 유기원으로 이용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물리, 화학, 생물학적 오니 슬러지 가용화를 위한 전처리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실험결과 알칼리 및 기계적전처리를 통하여 원수의 상등수의 SCODcr 대비 약 15배 및 12배의 증가율을 보였으며, 이를 다시 생물학적 전처리 방법인 가수분해를 실시할 경우 다시 2배의 증가율을 보여 화학적 전처리와 생물학적 전처리를 연계할 경우가 가장 효과적인 공정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오니슬러지를 기질로 이용하여 생물학적 수소생산의 잠재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처리된 슬러지를 대상으로 수소 생산 여부를 회분식으로 실시한 결과, 완충용액을 첨가한 경우가 완충용액을 첨가하지 알은 경우에 비하여 다양한 전처리 조건에서 수소생산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