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FDA TLD Dose Quality Audit and Measurement Uncertainty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치료방사선 선량보증과 측정불확도

  • Jeong, Hee-Kyo (Medical Devices & Radiation Health Department,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
  • Lee, Hyun-Ku (Medical Devices & Radiation Health Department,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
  • Kim, Gwe-Ya (Medical Devices & Radiation Health Department,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
  • Yang, Hyun-Kyu (Medical Devices & Radiation Health Department,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
  • Lim, Chun-Il (Medical Devices & Radiation Health Department,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 정희교 (식품의약품안전청 의료기기평가부 방사선표준과) ;
  • 이현구 (식품의약품안전청 의료기기평가부 방사선표준과) ;
  • 김귀야 (식품의약품안전청 의료기기평가부 방사선표준과) ;
  • 양현규 (식품의약품안전청 의료기기평가부 방사선표준과) ;
  • 임천일 (식품의약품안전청 의료기기평가부 방사선표준과)
  • Published : 2004.11.26

Abstract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KFDA) has peformed the calibration of therapy level dosimeters for Co-60 radiation since 1979. The reference standard ionization chamber has been calibrated at BIPM in France. The uncertainty on the KFDA calibration coefficients is 0.9 %(k=2) for air kerma and absorbed dose to water. Since 1999 a national quality audit program for ensuring dosimetry accuracy in Korea radiotherapy centers has been performed by the KFDA. The uncertainty associated with the determination of the absorbed dose to water from the TLD readings for high energy x-ray is 1.6 %(k=1). The correction factors for energy, non-linearity dose response, and TLD holder are used in the dose determination. Agreement between the user stated dose and KFDA measured dose within ${\pm}$ 5 % is considered acceptable. KFDA TLD postal dose quality audit program was peformed for 71 beam qualities of 53 domestic radiotherapy centers in 2003. The results for quality assurance showed that 63 out of 71 beam qualifies (89 %) satisfied the acceptance limit. The second audit was carried out for the centers outside the limit and ail of them have been corrected.

식품의약품안전청은 1978년 12월 방사선 분야의 국가교정검사기관으로 지정되어 현재까지 Co-60선원을 이용 치료준위 방사선측정기에 대한 교정을 수행하고 있다. 식약청의 에어커마와 물 흡수선량 측정값은 국제도량형국(BIPM)과 측정소급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교정계수의 확장불확도는 0.9 %(k=2)이다. 식약청에서는 외부방사선에 대한 선량보증의 일환으로 1999년 전리함을 이용하여 방사선치료기관의 선량측정을 수행하였으며, 2002년부터 열형광선량계(TLD)를 이용한 선량측정체계를 확립 ${\cdot}$ 운영하고 있다. TLD 판독에 대한 측정불확도는 1.6 %(k=1)이며, 측정불확도를 감안하여 선량보증의 허용한계를 ${\pm}$ 5 %로 설정하였다. TLD 판독값을 선량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선질, 비선형성, 홀더사용 등의 영향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정수를 사용하였다. 2003년도 치료방사선 선량보증사업에는 53개 기관(71개 선질)이 참여하였다. 선량보증 결과 71개 선질 중63개 선질(89 %)이 1차 측정에서 허용한계를 만족하였다. 허용한계 초과기관에 대해서는 재측정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 모두 허용한계 이내의 값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