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eological methodology and technology for the sunken ship 'Dmitri Donskoi' exploration

침몰선 'Dmitri Donskoi' 호의 탐사 해역 설정 과정과 수중 유물 발굴의 방법론

  • Kim, Su-Jeong (Marine Archeology & Georesources Research Center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
  • Yoo, Hai-Soo (Marine Geoenvironment & Resources Research Division)
  • 김수정 (한국해양연구원 해저환경자원연구본부 해저유물자원연구센터) ;
  • 유해수 (한국해양연구원 해저환경자원연구본부 해저유물자원연구센터)
  • Published : 2004.08.01

Abstract

Cruiser Dmitri Donskoi was constructed in 1895. During the Russo-Japanese War (1904-1905), she was damaged in an attack by Japanese destroyers at the battle of Tsushima, and scuttled in the east sea of Ulleungdo, Korea Peninsula on the 29th May 1905. In 2003, Dmitri Donskoi was found at the distance of 2 km off the east coast of Ulleung Island and at the depth of 400 m. Archival research was performed as the preliminary study for investigating the sunken ship.

1895년에 건조된 러시아 군함 Dmitri Donskoi 호는 러일전쟁 중 쓰시마 해전에 참전하여 1905년 5월 29일 울릉도 동해상에 침몰하였다. 이 침몰선을 찾기 위한 탐사가 지난 1999년부터 2003년까지 5년간 수행되었다. 이 탐사는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성공한 심해 침몰선 탐사이다. 러시아와 일본의 해전사 자료를 토대로 대략적인 위치를 파악한 뒤 해양물리학적 환경을 고려하여 탐사해역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다중빔 음향측심 탐사, 자력 탐사, 해저면 영상탐사 등의 지구물리탐사와 ROV 원격 탐사를 통해 침몰선 돈스코이호를 발견하였다. 향후 침몰선의 정밀 탐사와 보존관리가 진행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