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양대류에 의한 동해 심층수의 형성 가능성

Preconditioning Phase for Open Ocean Formation in the Northern Part of Subpolar Front of the East Sea

  • 이충일 (부경대학교 해양산업개발연구소) ;
  • 조규대 (부경대학교 해양산업개발연구소) ;
  • 김상우 (부경대학교 해양산업개발연구소) ;
  • 윤종휘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경찰학과) ;
  • 박성은 (국립수산과학원)
  • Lee Chung Il (Research Center for Ocean Industrial and Development,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Cho Kyu Dae (Research Center for Ocean Industrial and Development,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Kim San-Woo (Research Center for Ocean Industrial and Development,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Yun Jong-Hwui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Park Sung-Eun (Dept. of Maritime Poice Science, Korea Maritime University)
  • 발행 : 2004.11.01

초록

외양대류에 의한 심층수 형성과정의 초기단계 즉 침니 현상의 전 단계에 나타나는 현상을 포텐셜 와도, 지형류, 수온, 염분, 용존산소의 분포로부터 확인하였다. 포텐셜 와도의 분포에서 나타난 와동류는 Vladivostok 연안과 subpolar front 사이에 위치하며, 와동류의 분포 위치는 겨울철 심층수 형성 가능성이 높은 해역과 잘 일치한다. 대륙의 지형적인 특성으로 인한 바람장의 변화는 본 연구에서 나타난 시계반대방향의 와동류가 형성될 수 있음을 보여주며, 그 결과로 나타나는 dome구조의 밀도 분포는 외양대류의 초기단계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잘 보여준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itial stage of deep water formation between Vladivostok and the subpolar front in the East Sea, the factors, temperature, salinity, dissolved oxygen, measured by multi-ship surveys in 1969 have been used Deep water formation in the East Sea occurs in essentially two different forms: near continent and open ocean formation the position of eddy derived from potential vorticity matches well with that of deep water formatio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stributions of potential vorticity, geostrophic current, temperature, salinity and dissolved oxygen give clues for the preconditioning phase of open ocean formation like a doming of isotherm, associated with a cyclonic circula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