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성 탈질미생물 Bio-bead의 특성

  • 박경주 (부경대학교 식품생명공학부 생물공학) ;
  • 조경숙 (부경대학교 화학공학부 화학공학) ;
  • 이민규 (부경대학교 화학공학부 화학공학) ;
  • 이병헌 (부경대학교 환경시스템 공학부 환경공학) ;
  • 김중균 (부경대학교 식품생명공학부 생물공학)
  • Published : 2003.04.11

Abstract

The characteristics of bio-beads made of various supports, in which denitrifying bacteria were entrapped after those cells were isolated from sludge in wastewater treatment plants, were studied in order to develop a novel BNR system. Four species were isolated, and the bead made of 12% PVA showed the highest denitrification rate. The best concentration of cell loading was 200 mg/ml,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formance by bead sizes. The bead reached the maximum denitrification rate after 4 batch experiments, and with cell leaking of $10^3$ CFU/ml its capacity retained until 25 batches.

질소, 인 등의 영양소 제거를 위한 고정화 미생물을 이용한 새로운 BNR 시스템 개발을 위해 탈질능력이 뛰어난 균주를 순수분리하고 여러 담체를 사용하여 제조된 활성 bio-bead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4종류의 탈질 능력이 뛰어난 균주를 순수분리 하였고, 12% PVA 담체로 만든 bead가 가장 좋은 탈질능력을 보였다. Cell loading 농도는 200 mg/ml일 때 bead의 활성이 최적을 나타내었으며, bead의 size에 의한 탈질효율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제조된 bead는 약 4 batch실험 후 최대 탈질율을 나타내었으며, 약 25번의 batch실험까지는 탈질능력을 그대로 유지하고 cell leaking 양도 약 $10^3$ CFU/ml 정도 였으나, 그 이후로는 bead 형태도 변하면서 cell leaking이 증가하고 탈질능력도 감소되었다.

Keywords